본문 바로가기
스킨 · 스쿠버 다이빙/다이빙 이론

조석과 물때

by 블루 돌핀 2008. 1. 26.

1. 조석

 

 

 
 
 
 

 

 

 

 

   2. 물때

 

 

 
음력일
명칭
1일, 16일
턱사리
2일, 17일
한사리
3일, 18일
목사리
4일, 19일
어깨사리
5일, 20일
허리사리
6일, 21일
한꺽기
7일, 22일
두꺽기
8일, 23일
선조금
9일, 24일
앉은조금
10일, 25일
한조금
11일, 26일
한매
12일, 27일
두매
13일, 28일
무릅사리
14일, 29일
배꼽사리
15일, 30일
가슴사리

 

 

 

 

 

 

     3. 해수면의 움직임

 

 

 

바닷가에 가 보면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바다를 누구나 볼 수 있다. 이렇게 움직이는 바다를 유심히 지켜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닷물이 점차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바닷물이 일정한 위치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동하는 것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그려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곡선 모양이 된다.

 
 

이러한 조석은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더욱 잘 볼 수 있다. 바다의 움직임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일어나게 되지만 몇 시간 정도의 거의 일정한 시간에 반복되는 움직임(주로 태양, 달, 별 등에 의해 일어남)을 조석(tide)이라 하고 그 높이를 측정하는 것을 조석 관측이라 한다.

 

기본수준면(수심기준면) | 약최저저조면 | 평균해면 | 약최고고조면 | 기조력 | 만유인력 | 검조소 | 검조기 | 고조 | 저조 | 조화상수 | 조위 | 조석표 | 간출암 | 천문조 | 기상조

 

물 높이를 알아내는 방법 중 가장 쉬우면서 꼭 해야 하는 것은 물 속에 눈금이 그려져 있는 자를 수직으로 세우고 물 높이를 눈으로 측정하는 관측법(표측관측, tide pole)이다. 이때 조심해야 할 것은 물이 가장 밑으로 내려 갔을 때(약최저저조면)에도 관측이 가능하도록 자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표측 관측은 짧은 시간 동안의 관측이나 기본수준점표의 높이를 측정할 경우, 기계식 검조기 자료의 정확성을 파악하려 할 때 행해진다. 그러나 눈으로 관측하는 방법이어서 캄캄한 밤이나 눈, 비 등이 많이 내리는 날에는 정확한 관측이 불가능하다.

 

자기 검조기

  기계식 검조기에는 물 높이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수압식과 공을 물 위에 띄어 놓고 물 높이가 변화함에 따라 공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측정하는 부표식이 있다.
수압식
  수압을 측정하는 기계 위의 물 높이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짧은 기간 동안의 측정에서 주로 사용
한다.
 
 

부표식

  일반적으로 해안가의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닷물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관 (도수관)이 있는 우물을 만들어 물 높이를 측정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검조기인데 좀더 세분해 보면 리샤르(Richard)형, 후스(Fuess)형, 오트(Ott)형 등이 있다.
  리샤르형 : 부표식 검조기 중에서 가장 간단한 형태이다. 부표와 연결된 줄을 건 골차와 치차를 이용하여 회전 폭을 줄인 다음 회전축에 붙어 있는 펜이 조위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래프를 그리는 간단한 기계이다.
후스형 : 후스형의 작동 원리는 리샤르형과 거의 같으며 리샤르형보다 좀더 정확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오트형 : 이 검조기는 대형 Type 1 과 소형 Type 15가 있으며 그 원리는 다른 부표식 검조기와 같다. Type 1 은 기준검조용으로 가장 적합하며 Type 15는 휴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오트형 검조기는 회전시계를 임의로 고칠 수 있으며 또 배율을 부속픔의 교체로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측정한 물 높이는 어디에 사용하나?

이렇게 관측한 물 높이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1년 후의 물 높이를 예측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중간에 조금은 복잡한 수학을 이용하지만 지금은 컴퓨터가 발전되어 옛날보다는 쉽게 물 높이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가 바닷가에서 직접 관측하는 물 높이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예측한 물 높이가 똑같은 것은 아니다.
 
왜그럴까?
그것은 하늘에 떠있는 별(달, 태양)들과 지구 사이의 만유인력에 의해 일어나는 물 높이의 변화를 예측한 것이지 바람, 비, 태풍 등에 의한 물 높이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보한 물 높이가 태풍 등이 없으면 아주 잘 맞기 때문에 우리가 바닷물이 언제 내려가는지 또는 언제 올라오는지를 매우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인천 등 일부지역(7 물때식)
남해 등 타지역(8 물때식)
음 력 일
명칭
음력일
명칭
1일, 16일
일곱매
1일, 16일
여덟물
2일, 17일
여덟매
2일, 17일
아홉물
3일, 18일
아홉매
3일, 18일
열 물
4일, 19일
열 매
4일, 19일
열한물
5일, 20일
한꺽기
5일, 20일
열두물
6일, 21일
두꺽기
6일, 21일
열세물
7일, 22일
아 조
7일, 22일
열네물
8일, 23일
조 금
8일, 23일
조 금
9일, 24일
무 시
9일, 24일
한 물
10일, 25일
한 매
10일, 25일
두 물
11일, 26일
두 매
11일, 26일
세 물
12일, 27일
세 매
12일, 27일
네 물
13일, 28일
네 매
13일, 28일
다섯물
14일, 29일
다섯매
14일, 29일
여섯물
15일, 30일
여섯매
15일, 30일
일곱물

 

자료출처 : 아쿠아 마린

'스킨 · 스쿠버 다이빙 > 다이빙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북 작성 방법  (0) 2011.08.13
다이빙 용어의 해석  (0) 2010.08.25
다이빙 이론 동영상  (0) 2008.11.19
압력 부피의 변화  (0) 200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