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 연구/스포츠교육학 관련

통시적(diachronic, 通時的) &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에 관한 비교

by 블루 돌핀 2010. 9. 10.

1. 통시적(diachronic, 通時的) :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또는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는 관점' 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2.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 '역사적인 시간의 흐름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 상황만을 고려하는 관점' 이다.

                                                '같은 시대에 관련되는 것'을 의미한다.

  집의 모양과 구조 등 집의 특징을 알기 위해서 우리는 설계도라는 도면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설계도에 나와 있는 도면의 그림들은 상이하게 다르다.

같은 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면서도 집을 위에서 바라 본 모습을 그린 '평면도'와 집의 모습을 앞에서 바라보는 '정면도',

그리고 측면에서 바라보는 '측면도'는 전부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가지 공통된 특징은 그 도면 모두 집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성서를 읽고 해석하는 작업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성서를 읽고 해석하는 작업에는 크게 세 개의 변수가 있다.

바로 저자와 본문과 독자이다.

구약 성서를 읽고 해석하는 기술은 저자 중심의 해석, 본문 중심의 해석, 독자 중심의 해석으로 구분된다.

■ 통시적 방법

저자 중심의 해석은 통시적(通時的, diachronic, 시간을 통과하여)해석,

또는 이른바 역사 비평적(historical-critical)해석이라고도 불린다.

성서 본문이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이루어지게 된 상황을 고려하면서 본문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즉 구약의 말씀을 읽으면서 그 말씀의 저자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왜, 그런 글을 남기게 되었는지를

본문 이해의 기조로 삼는다.

말씀의 의미는 그것을 기록한 저자의 시대나 그 사람이 원래 있었던 자리나 그 원래의 방식 등을 파악할 때

온전히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

마치 '개구리를 알기 위해 개구리를 해부해 보아야' 한다는 식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방식이다.

물론 개구리를 알기 위해서는 개구리를 해부하는 것만큼 객관적이고 정확한 방법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개구리를 진정으로 안다고 하기 위해서는 단지 개구리가 한 개의 심장과 두 개의 간, 십이지장, 소장, 쓸개를

가지고 있는 양서류라는 정의만으로는 부족하다.

개구리는 어떤 음식을 좋아하고, 개구리는 어떤 색을 좋아하며, 개구리가 사람이게 주는 이점은 무엇이며.......등등

해부만으로는 알 수 없는 여러 가지의 개구리만의 특성이 있는 것이다.

성서 해석도 마찬가지이다.

그책의 저자가 누구인지 알아야만 그 책을 특성을 제대로 파악 할 수 있다고 단정한 나머지 신·구약의 말씀을 읽으면서도

말씀자체보다는 말씀에 대한 서적만을 읽게 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는 말아야한다.

■ 공시적 방법

본문 중심의 해석은 성서와 본문과 그것을 읽는 독자 사이에 어떤 시간적·공간적·문화적 간격이 있다는 것을

크게 문제삼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본문 중심의 구약 해석은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 시간과 함께)해석이라고도 불린다.

성서 본문의 배후에 자리잡고 있는 저자의 역사나 상황 등을 해석이 과제나 수단으로 전제하지 않고

"최종 형태의 성서 본문"이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해석의 대상이나 해석의 과제로 삼는다.

그래서 이 해석은 텍스트의 역사성을 규명 하기 보다는 텍스트의 문학성을 추적하려 한다.

곧 본문의 의미나(textual truth) 글의 의미(literary truth)를 소중하게 갈무리하려고 한다.

⇒ 사회과학적 비평(Social-Scientific Criticism), 정경 비평(Canonical Criticism), 신문학 비평(New Criticism)을

비롯한 문학 비평(Literary Criticism), 이야기 해석(Narrative Analysis), 수사학적 해석(Rhetorical Criticism)등이

모두 공시적 해석 방법들이다.